정화 2단계의 네 번째 가디언 '크라티오스'. 권장 아이템 레벨 1,720레벨 보스로 카제로스 3막의 모르둠과 유사한 패턴을 사용한다. 복잡한 기믹이 없어 직관적으로 상대할 수 있다.
크라티오스는 젬을 드롭하는 보스로 T4 등급 재료와 아크 그리드에 도움을 준다. 최초 클리어 보상으로 치명+4 물약과 신규 카드 세트로 힘/민/지+5 효과, 물질 계열 추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젬을 주는 가디언...치명타 증가 물약도 유용 크라티오스는 고대 등급 장신구와 팔찌, T4 재료 보상 외에도 새롭게 추가된 '젬'을 준다. 1회 처치 기준으로 2~5개 가량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 이외에는 1회 처치 보상의 치명 증가 물약, 전용 카드 세트의 힘/민/지 보너스가 있다. 계열 추가 피해는 물질로 큰 의미는 없다.
업적은 크라티오스의 꼬리 갑옷 파괴, 잠수한 크라티오스 무력화 시키기, 정화 성공이 있다. 모두 기믹과 관련한 보상이다.
▲ 치명타 증가 물약이 제일 중요한 보상 ▲ 카드 세트는 명함만 모으면 된다
직관적인 패턴으로 때려 잡으면 되는 보스, 크라티오스 크라티오스는 [뇌] 속성 공격에 취약하다. 일명 뇌구빛, '날랜 뇌전의 숨결' 카드 세트가 있다면 10% 증가된 피해를 줄 수 있다. 18각성부터 세구빛을 이길 수 있는 셈. 추천 배틀 아이템은 신호탄, 전기 수류탄, 페로몬 정수다. 전기 수류탄은 후술한 기믹으로 인해 필수적이고, 페로몬 폭탄은 보스가 시간 주기로 1~2회 도주하기 때문에 필요하다.
크라티오스는 남은 체력에 따라 2회 협동 기믹(꼬리 카운터)를 사용하며, 일정 주기로 도주 패턴을 사용해 다른 지역으로 이동한다. 시간으로 추정되기 때문에 파티 딜이 부족하다면 페로몬 정수는 필수다.
전기 수류탄과 관련된 기믹을 제외하면, 보스가 거는 상태 이상도 없고 디버프도 없어 직관적으로 플레이할 수 있다. 기믹을 아예 모르고 매칭에 참여해도 클리어에는 큰 지장이 없는 수준.
- 핵심 기믹 : 전기 마킹
크라티오스는 특별히 주의할 디버프는 없다. 크라티오스의 파도 공격에 맞을 경우 잠시 동안 시야가 감소하는 정도다. 대신 경직 판정의 공격이 많아 보스 정면에 있다면 공격 하나하나를 주의해야 한다.
크라티오스의 핵심 기믹은 전기 마킹으로 보스가 물웅덩이에 숨거나 꼬리 본체를 노출하고 있을 때 뇌속성 공격(전기 수류탄)을 가하면 전격 상태가 되고, 이후 등장할 물웅덩이에 본체가 표시된다. 저스트가드 패턴의 경우 이 방법을 통해 보스를 무력화 시키는 것도 가능.
▲ 파도 공격에 맞을 경우 물 이펙트로 시야가 가려지니 주의 ▲ 크라티오스의 꼬리, 물웅덩이에 전기 수류탄을 던져 본체를 체크 가능
- 핵심 기믹 : 잠행 패턴
조우 후 일정 시간이 지나면 사용한다. 보스가 포효 후 지하로 잠수, 이후 세 가지 패턴 중 하나를 무작위로 사용한다. 잠행 중인 보스를 전기 수류탄으로 맞춘다면 공격할 위치를 알 거나 저스트 가드 패턴에서 공격 기회를 얻을 수 있다. 다만 파해를 몰라도 잘 피하면 된다.
▲ 포효 후 보스가 잠수하면 이 패턴의 시작이다 ▲ 일반 잠수 패턴은 시야가 어두워 진 후 어글 대상자에게 공격이 나온다 ▲ 여기서 보스에게 전기 수류탄을 던지면 마지막 공격 위치가 보인다 ▲ 저스트가드 패턴은 총 2회 파도를 일으키며 돌진하는데 저스트가드로 막는 것만 가능 ▲ 전기 수류탄을 던지면 저가 후 공격 기회가 생긴다 ▲ 꼬리 저스트 가드는 꼬리 인근에 끌어당기는 공격이 떨어진다
- 핵심 패턴 : 꼬리 카운터
보스의 남은 체력 약 80%에서 시작한다. 공략 기간 동안 총 2회 나온다. 이 패턴 이전 보스가 이동 패턴을 쓰는데, 보스가 너무 벽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벽에 가려져 카운터가 불가능할 수 있다.
보스가 포효하며 본체 꼬리를 잠시 소환한다. 이 꼬리에 전격 공격(전기 수류탄)을 날리면 보스가 전격 상태가 되고, 이후 꼬리 카운터 패턴에서 본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후 8개 방향에 물웅덩이가 생기고 하나는 진짜, 7개는 가짜 꼬리가 나온다. 카운터는 진짜 꼬리에서만 등장하는데, 반응 속도가 빨라도 대응하기 쉽지 않다. 대신, 본체 꼬리에 전기 수류탄을 던져놨다면 물웅덩이에 뜨는 전기 이펙트를 보고 위치를 미리 알 수 있다. 이렇게 본체 꼬리를 찾고 카운터에 성공하면 꼬리가 부위 파괴 상태가 되고, 부위 파괴를 통해 기믹을 파해할 수 있다.
꼬리 부위 파괴까지 성공한 경우, 보스가 도주할 때까지 얌전한 상태가 되며 잠행 패턴을 사용하지 않는다. 대신 보스 인근에 본체 꼬리가 나와 공격을 돕는다.
▲ 본체에 전기 수류탄을 던져 전격 상태로 만들면 ▲ 진짜 꼬리가 나오는 웅덩이에 전격 이펙트가 보인다 ▲ 꼬리 카운터 후 부위 파괴까지 하면 본체 정화 성공
만약, 꼬리 카운터에 실패했다면 본체 카운터를 성공하면 된다. 본체는 정면에 십자 장판 공격(피격 이상)을 가한 후, 그대로 90도 방향을 꺾어 카운터 패턴을 사용한다. 보스 정면이 아니라 백 위치에 있다가 보스가 도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손쉽게 카운터 성공 가능. 이 카운터 공격도 실패했다면 보스가 주변에 큰 피해를 준다.
▲ 공팟 기준 꼬리 카운터가 실패했다면 본체를 카운터해 넘길 수 있다
크라티오스 공략 요약
- 배틀 아이템은 물약, 신호탄, 전기 수류탄, 페로몬 정수 - 꼬리 카운터 패턴에 전기 수류탄을 던져 진짜 꼬리를 찾을 수 있다 - 잠행 패턴은 전기 수류탄으로 공략 가능하나 몰라도 됨 - 보스는 조우 후 빙글빙글, 무력화를 1회씩 사용
크라티오스 주요 패턴 정리 - 빙글빙글
이 패턴은 조우하거나 도주 후 초반 패턴으로 1회만 사용한다. 보스가 소용돌이를 일으키며 돌고, 주변 캐릭터에게 경직 피해를 준다. 적당히 물러나 있으면 된다. 1회 도주 후 강화 상태가 된다면 패턴이 강화되어 어그로 대상자를 쫒아간다. 한 방향으로 쭉 무빙하며 회피하면 된다.
▲ 두 번째 빙글빙글부터는 어글자를 따라오니 조심 ▲ 패턴 종료 후 경직 장판이 추가로 터지니 조심!
- 무력화
조우 후 빙글빙글, 이후 2~3패턴 후 사용한다. 보스가 자리를 터뜨려 피격 이상 피해를 주고, 이후 좁아지는 도넛 모양 장판을 하나씩 터뜨린다. 장판을 피하며 무력화를 성공시키면 약간의 공격 기회를 얻을 수 있다. 도넛은 보스안쪽까지 좁아졌다가 파도 패턴 후 다시 처음부터 터진다. 2회 기믹 동안 실패하면 무력화 실패로 강력한 공격이 전체 파티원에게 나오니 주의.
- 원 투 펀치+원투쓰리
정면을 주먹으로 2회 공격한다. 또는 2회 공격 후 주먹을 모아 1회 더 때린다. 모두 경직 공격으로 경직 면역 스킬로 무시할 수 있다. 마지막 공격은 머리가 돌아가니 주의.
- 브레스 후 와이파이
입에 물을 머금는 전조 후 에 정면으로 브레스를 발사한다. 부채꼴 전방 발사 후 와이파이 추가 공격까지 있다. 브레스는 경직이기 때문에 좌우로 회피하면 된다.
강화 상태(1회 도주 후)에서는 브레스를 3회 걸쳐 다른 방향으로 쏜다. 머리가 돌아가니 주의. 또, 브레스 방향을 돌리면서 후방 꼬리로 추가 공격이 나온다.
▲ 강화 브레스는 정면보다 후방 꼬리치기에 주의
- 잽 날리고 쾅!, 쾅 이후 추가타
정면을 크게 휘두르며 경직 피해를 주고, 해당 방향을 내려치며 캐릭터를 다운시킨다(피격 이상). 추가로 보스가 어깨에 초록 빛을 모으면 부채꼴 범위 추가타가 나온다. 크게 어려울 것 없는 패턴이지만, 추가타를 쓰면서 보스가 뒤로 밀리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 스크류바
보스가 빙글빙글 패턴과 같은 자세로 회오리를 만든다. 옆으로 누우면 이 패턴이다. 누운 상태로 경직 피해를 주며 돌진, 피격된 캐릭터를 날려 버린다(피격 이상).
- 스크류저가
보스가 빙글빙글 패턴과 같은 자세로 회오리를 만든다. 이후 저스트 가드 신호가 나오면 이 패턴. 주변을 돌면서 피격 이상 공격을 날린다. 저스트 가드로 무시할 수 있으며, 타이밍은 맞기 직전.
- 정면 찍고 어푸어푸
크라티오스가 정면을 쾅 찍고 곧바로 돌진한다. 찍기 공격은 경직이나 이어지는 돌진이 피격 이상(에어본)이다. 또, 돌진 방향으로 파도가 쏟아져 경직 피해를 준다.
후속 패턴으로 방향을 돌려 지나온 방향으로 피격 이상 브레스를 1회 쏜다. 보스 백을 바로 쫒아가면 시야 바깥에서 날아온 브레스에 재차 넘어지니 주의. 좌우 무빙을 해주는 것이 좋다.
▲ 확률적으로 피격 이상 판정의 브레스 후속타가 있으니 주의
- 옆치고 잡기
크라티오스가 몸을 크게 기울여 옆구리를 찍고 돌진, 정면 넓은 방향에 잡기 공격을 날리고 뒤로 공격한다. 범위가 넓고 첫 경직 공격에 경직되면 끌려가 잡기에 연속으로 당하게 된다.
▲ 가장 조심해야 하는 잡기 패턴 ▲ 피격 되면 이런 느낌
- 휘적휘적 후 장판
보스가 정면에 펀치 공격을 날리며 최대 5회까지 돌진한다. 3~4회에서 끝날 때도 있으며, 이 때는 별모양 장판 공격을 날린다. 장판은 피격 이상(에어본)이니 조심. 5회 공격 시에는 장판이 안 생기는 경우도 있다.
- 한 번or 두 번 물고 후리기
보스가 몸을 길게 빼며 정면을 때리고, 같은 공격을 한 번 더 하며 정면 넓은 범위에 쓸기 공격을 한다. 3회 공격이 모두 경직 판정이며 범위도 넓기에 경직 면역 스킬로 무시하고 백으로 움직이는 것이 좋다.
- 두 번or 세 번 찍기
모르둠의 찍기와 유사하다. 정면을 만세하며 1회 공격, 2~3회까지 친다. 2회 공격, 3회 공격 모두 마지막 공격은 긴 범위 파도 공격이 추가된다. 매 공격마다 머리를 돌리기 때문에 머리 고정 후 좌우 무빙으로 피해주면 좋다.
- 백스텝 후 도넛or 백스텝 후 도넛 두 번
보스가 백스텝으로 뒤로 물러나며 정면을 내려치고 도넛 모양 공격을 한다. 보스를 바로 쫒지 않고 가만히 있으면 피격되지 않는다. 이 공격은 경직 판정이다.
꼬리 카운터 기믹 후 강화 상태라면 백스텝 후 도넛의 절반 범위 공격을 2회에 걸쳐 날린다. 연속으로 맞을 수 있으니 주의.
- 두 번 돌기
보스가 정면 시계 방향을 크게 쓸면서 돌진, 이후 반시계 방향 넓은 범위를 쓸어버리는 공격을 한다. 백 위치나 진행한 반대 방향으로 따라붙으면 안전하다.
- 돌면서 어퍼컷+꼬리치기
보스가 백 위치로 몸을 크게 틀며 백 위치를 향해 어퍼컷을 날린다. 이 공격은 경직 판정이다. 이후 꼬리 방향(원래의 헤드 위치)를 향해 넓은 범위 꼬리치기를 날린다. 꼬리 쪽이 더 피하기 어렵기 때문에 백 위치라면 제자리에 있는 것이 더 유리하다.
- 잠수 후 등장해 회전 브레스
잠행과 유사하나 일반 패턴으로 보인다. 보스가 꼬리를 여럿 소환하며 무작위 위치에 등장해 브레스를 날린다. 보스 위치를 빨리 확인하고 백으로 모이면 안전.